본문 바로가기

성경 읽기

로마서 9장

그리스도 안에 있는 내가 진실을 말하고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성령님 안에서 내 양심이 증거하고 있습니다.

 

나에게는 큰 슬픔과 그치지 않는 마음의 고통이 있습니다.

 

만일 내 동족이 구원만 얻는다면

내가 저주를 받아 그리스도에게서 떨어져 나가는 한이 있더라도

나는 그렇게 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내 동족 이스라엘 사람들을 선택하여

아들로 삼으시고

그들에게 자기 영광을 나타내셨으며

그들과 계약을 맺고 율법을 주셨습니다.

그들에게는 성전 예배와 받은 약속이 있고

훌륭한 조상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에게서 예수님이 육신을 입고 오셨는데

그분은 온 우주를 다스리시며 길이길이 찬양을 받으실 하나님이십니다. 아멘 

/그들은 이스라엘 사람들입니다.

그들에게는 아들의 자격과 영광과 언약들과 율법을 주신 것과 봉사와 약속들이 있습니다.

조상들도 그들의 조상이며, 육체로 말하자면 그리스도도 그들에게서 나셨습니다.

그리스도는 만물 위에 계셔서 영원히 찬양을 받으실 하나님이십니다. 아멘./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아닙니다.

이스라엘 조상을 두었다고 해서 다 이스라엘 사람이 아니며

아브라함의 후손이라 해서 다 그의 자녀가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은 이삭을 통해서 난 사람이라야 네 후손으로 인정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육신의 자녀가 하나님의 자녀가 아니라

약속의 자녀라야 아브라함의 후손이 된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이 헛되게 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스라엘에게서 난 그들이 다 이스라엘 사람인 것은 아니며,

또한 아브라함의 씨라고 해서 그들 모두가 그의 자녀인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직 "이삭에게서 나야 너의 씨라고 불릴 것이다."라고 하셨는데,

그것은 육체의 자녀들이 곧 하나님의 자녀들인 것은 아니며,

약속의 자녀들만이 씨로 여겨진다는 뜻입니다./

 

그 약속은 "내년 이맘때에 내가 너에게 돌아올 것이니 사라에게 아들이 있을 것이다"라는 말씀이었습니다.

이뿐 아니라 우리 조상 이삭과 결혼하여 쌍둥이를 임신한 리브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아기가 아직 나기 전, 선한 일이나 악한 일을 하기도 전에 하나님께서는 리브가에게

"형이 동생을 섬길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것은 선택의 표준이 행위에 있지 않고 그분의 뜻에 있음을 나타내시려는 것이며

또 그것은 성경에 "내가 야곱은 사랑하였고 에서는 미워하였다"라고 하신 말씀과도 같습니다.

/약속의 말씀은 "내년 이맘때 내가 올 것인데,

그때 사라에게 아들이 있을 것이다."라고 한 것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리브가가 한 사람, 곧 우리 조상 이삭으로 말미암아 잉태하였을 때에

쌍둥이가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고 또 선이나 악을 행하지도 않았는데

(사람을 선택하시는 하나님의 목적이 사람의 행위에 있지 않고

부르시는 분께 있다는 것을 확고히 하시려고),

하나님께서 리브가에게 "큰 사람이 작은 사람을 섬길 것이다."라고 하셨으니

성경에 내가 야곱은 사랑하였고, 에서는 미워하였다."라고 기록된 것과 같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무엇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하나님이 공정하지 못하시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그럴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내가 자비를 베풀고자 하는 사람을 불쌍히 여기겠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므로 모든 것이 사람의 요구나 노력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자비에 달려 있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하나님께서는 파라오에게

"내가 너을 왕으로 세운 것은 너를 통해 내 능력을 나타내고,

내 이름을 온 땅에 두루 전하기 이함이다"라고 말씀하셨던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뜻대로 어떤 사람에게는 자비를 베푸시고,

또 어떤 사람은 완고하게도 만드십니다.

 

그러면 여러분 중에는 나에게 이렇게 말 할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왜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잘못했다고 우리를 책망하시는가?

하나님의 뜻을 거스를 사람이 누가 있단 말인가?"

 

그러나 사람이 무엇이기에 감히 하나님께 말대꾸한단 말입니까?

토기그릇이 자기를 만든 사람에게 "나를 왜 이렇게 만들었소?"라고 말할 수 있습니까?

 

토기그릇을 만드는 사람이 똑같은 진흙으로 귀하게 사용할 그릇과

천하게 사용할 그릇을 만들 권한이 없단 말입니까?

 

하나님께서 진노를 나타내시고 그분의 능력을 사람들에게 알리시기를 원하셨으면서도

멸망받기로 되어 있는 진노의 그릇을 인내로써 참아 주셨다면 어쩌겠습니까?

 

또한 하나님께서 그렇게 하신 것이 영광에 들어가도록 미리 준비하신

자비의 그릇들에게

그분의 퐁성한 영광을 알게 하기 위해서였다면 어쩌시겠습니까?

 

하나님께서 부르신 자비의 그릇이 바로 우리들입니다.

유대인 중에서만 부르신 것이 아니라

이방인들 중에서도 부르셨습니다.

 

호세아 글에서도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내 백성이 아니라'고 말했던 사람을 '내 백성'이라 부르겠고,

내가 사랑하지 않았던 사람을 사랑하겠다."

 

그리고 이런 말씀도 있습니다.

"너희는 내 백성이 아니라'고 그들에게 말한 그 곳에서

그들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불리게 될 것이다."

 

또한 이사야는 이스라엘에 관해 이렇게 외쳤습니다.

"이스라엘 자손들의 수가 바닷가의 모래처럼 많을지라도 남은 자만 구원을 얻을 것이다.

 

주님께서 약속하신 말씀을 이 땅에서 신속하고 철저하게 이루실 것이다."

 

또 일찌기 이사야가 이렇게 예언한 것과 같습니다.

"만군의 주님께서 우리에게 후손을 남겨 두지 않으셨다면

우리는 소돔처럼 되고, 고모라처럼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 우리가 뭐라고 말하겠습니까?

의를 추구하지 않았던 이방인들이 믿음에서 나오는 의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의의 율법을 추구했지만 그것을 얻지 못했습니다.

 

왜 얻지 못했을까요?

그것은 그들이 믿음에서 나오는 의를 추구한 것이 아니라,

그 의가 마치 행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생각하고 의를 추구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들은 걸림돌에 걸려 넘어지고 말았습니다.

 

성경에 "보아라, 내가 시온에 사람들의 발에 부딪치게 하는 돌과

사람들을 걸려 넘어지게 하는 바위를 놓으리니,

그를 믿는 사람은 부끄러움을 당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기록된 것과 같습니다.

 

 

 

 

 

 

' 성경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야 58장   (0) 2011.03.05
베드로전서 1장 22절- 25절  (0) 2011.03.05
로마서 8장  (0) 2011.02.16
전도서 7장  (0) 2011.02.15
로마서 7 장  (0) 2011.02.09